[원자료 출처] 나라지표, 2011년 정보격차지수 현황
http://www.index.go.kr/egams/stts/jsp/potal/stts/PO_STTS_IdxMain.jsp?idx_cd=1367&bbs=INDX_001의미분석
지표 담당 : 행정안전부, 정보문화과, 02-2100-4075
최근 갱신일 : 2012-04-03
이용상 유의점
o 정보격차지수는 0~100(점) 범위의 값을 가지며, 100(점)에 가까울수록 정보격차가 큰 것을 의미하고 0(점)에 가까울수록 정보격차가 적은 것을 의미함
관련용어
- 정보격차지수 : 일반국민의 정보화수준을 기준으로 하여, 일반국민과 취약계층간 상대적 정보격차 수준을 지수화함. 일반국민의 정보화수준을 100으로 가정할 때 일반국민 대비 취약계층의 정보화수준을 측정하여 일반국민과 취약계층간 격차 산출. 취약계층은 장애인, 장노년층(50대이상).저소득층, 농어민을 기준으로 함
- 종합격차지수 : 접근.역량.활용 부문을 종합한 정보화수준의 격차 측정
- 접근격차지수 : 컴퓨터.인터넷 등 정보통신 인프라 접근수준의 격차 측정
- 역량격차지수 : 컴퓨터 및 인터넷 사용능력 수준의 격차 측정
- 활용격차지수 : 컴퓨터.인터넷의 양적 및 질적 사용수준의 격차 측정(양적활용 : 컴퓨터.인터넷 이용률 및 이용시간, 질적활용 : 컴퓨터.인터넷의 일상생활 부문별 활용정도 및 세부 용도별 이용정도)
작성방법
- 일반국민 및 4개 취약계층 대상의 조사를 통해 지수 산출 (조사통계)